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QN 면제기간 확인 방법 총정리, PTP 과세 피하는 핵심 팁

by 건강하자83 2025. 6. 27.

 

QN 면제기간,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나요?

미국 상장 ETF 중 PTP 종목은 매도 시 원천징수 세금 10%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QN(Qualified Notice) 면제 기간에는 이 세금이 면제되기 때문에,
해외 투자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QN 면제기간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증권사 홈페이지 공지사항이 가장 정확합니다

삼성증권, 유안타증권, 카카오페이증권 등
국내 주요 증권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고객센터’ 또는 ‘공지사항’ 메뉴에서 ‘PTP’ 또는 ‘QN’ 키워드로 검색하면
최신 PTP 종목 리스트가 첨부된 공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QN 면제 여부와 면제 시작일~종료일이 표로 정리되어 있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출처로 활용됩니다.


PTP 종목 리스트 파일, 정보 구조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PTP 종목 리스트는
엑셀 혹은 PDF 형식의 첨부파일로 제공되며,
해당 파일 안에는 종목명, 종목 코드(심볼), QN 발행 여부,
QN 면제 시작일과 종료일이 구체적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현재 내가 보유한 종목이 QN 적용 대상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항목명설명
종목명 ETF 또는 ETN의 이름
심볼 미국 시장에 등록된 종목 코드
QN 발행 여부 Y/N 여부
면제 시작일 QN 공시 기준 시작일
면제 종료일 공시일로부터 92일 후 날짜
 

예시: 삼성증권에서 QN 정보 확인하는 경로

삼성증권을 기준으로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은 절차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접속 후 ‘고객센터 → 공지사항 → PTP 검색’ 순으로 진행하면
최신 QN 적용 종목이 포함된 안내 공지를 찾을 수 있으며,
공지에 첨부된 파일을 열면 QN 면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대부분의 증권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됩니다.


발행사나 운용사 공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투자자는 직접 ETF 발행사나 운용사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QN 공시 여부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ProShares, UBS, iPath 등의 사이트에서는
해당 ETF에 대해 QN 발행 정보를 공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고 검색이 번거로워
실제 투자자들은 증권사 공지를 더 자주 활용합니다.


QN 면제기간, 반드시 매매 전에 확인하세요

QN이 적용되는 92일의 기간 동안에는
매도 대금의 10%가 원천징수되지 않습니다.
다만, 해당 기간이 끝나면 자동으로 세금이 다시 부과되므로
매도 시점이 QN 종료일을 넘기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92일 이내에 매도할 계획이라면 반드시 공시일 기준으로
계산된 종료일을 확인하세요.


QN 면제 적용 중이라도 증거금 일시 징수될 수 있습니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QN 면제 기간 중 매도하더라도
시스템상 증거금을 임시로 징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결제일 이후에는 환급 처리되니
혼란이나 불안함 없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QN이 유효한 상태에서 매도했다면
세금 부담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꼭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 정리

아래 표는 QN 면제기간 확인 시 꼭 알아야 할 포인트를 정리한 것입니다.

항목확인 방법주의 사항
QN 면제 여부 증권사 공지사항 종목별 Y/N 여부 꼭 확인
면제 시작일 QN 발행일 공시일 기준
면제 종료일 시작일 + 92일 매도 전 종료일 체크
과세 구조 매도 대금의 10% 손익 무관 과세 적용
시스템상 징수 일시적 증거금 징수 가능 결제 후 환급됨